무한의 선(線)에 담긴 불교적 선(禪)을 탐구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저장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서울 무우수갤러리, 9월 11일~10월 14일
서정민 작가 기획 초대전 ‘무한의 선(禪)’
선(線) 너머 극한의 무한 세계 경험 선사
반복적으로 그려낸 선(線)에서 불교적 선(禪)을 탐구하고, 비워진 여백의 선에서 수행과 명상의 본질을 성찰하는 전시회가 마련된다. 서울 무우수갤러리(대표 이연숙)는 9월 11일부터 10월 14일까지 서정민 작가 기획 초대전 ‘무한의 선(禪)’을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서정민 작가의 ‘선(Lines) 시리즈’ 12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서 작가는 ‘한지’를 사용해 습작 서지(붓으로 한지에 서체 연습을 했던 종이)를 수집한 후, 두루마기 기법(무엇인가 적혀 있는 종이를 둘둘 만 것)을 응용해 한지를 말고, 자르고, 붙이고 쪼개 ‘한지 토막’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한지 토막의 단면은 글의 형상이 바뀌어 먹빛을 머금은 가느다란 선들만 남는다. 이와 같이 글이 선으로 바뀌는 지점의 조각들을 콜라주 방법으로 화면 위에 붙이고 쌓아 무엇(생명체)들이 움직이는 듯한 형상의 집합체를 구현했다. 때로는 동그랗게 말거나 평평하게 깎고 긋는 행위로 생동감을 살리기도 한다.
서 작가는 대학 졸업 후 평범한 직장 생활을 하며 가장으로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이 바라던 예술가의 꿈을 꾸고 퇴근 이후 무수한 선 긋기 작업에 몰두했다. 독학으로 작업을 하던 중 예술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늦은 나이 조선대에 진학, 스승 김유섭을 만나 현대 미술에 새로운 시각을 열고 풍경을 담은 유화 작품을 선보였다. 이후 보이는 세계 그 이상에 대한 궁금증으로 ‘선’에 주목했다. 수년간 연필 선을 긋는 작업만 고집하던 서 작가는 우연히 서예와 한지를 사용해, 현재까지 한지를 재료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한지 화가’라는 애칭까지 생긴 서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불교적 수행의 의미가 담긴 선(禪)을 통해 보이는 선(線) 너머 극한의 무한으로 들어가는 경험을 선사한다.
서정민 작가는 작가노트를 통해 “서지를 쌓아 화면의 공간을 채우고 비우는 일종의 묵언수행(默言修行)과 같은 반복적인 노동행위를 함으로써 무위자연의 선(線)과 불교적 의미의 선(禪)을 드러내는 것이 작업의 요체”라며 “우리 정서가 밴 먹과 한지를 끊임없이 맞대고 잇고를 반복함으로써 드러난 선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흥과 신명을 발견하고, 비움으로써 드러나는 여백을 선으로 바라봄으로써 불교의 본질을 성찰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웅기 미술 비평가는 이번 전시에 대해 “안료가 아닌 한지를 자르고, 말고, 쪼개고, 붙여서 만든 작은 조각들로 꽉 차 있는 거대한 캔버스를 보고 그 수고에 압도됐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연숙 무우수갤러리 대표도 “2024 무우수갤러리 기획 초대전 ‘무한의 선(禪)’을 통해 서정민 작가가 손끝으로 전달하는 아날로그적 감성과 현대사회에 불어오는 온기를 함께 느껴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정민, LINES 36, 140x140cm, 한지, 2022
서정민, LINES M91, 91x91cm, 한지, 2024
김내영 기자
원문바로가기
무한의 선(線)에 담긴 불교적 선(禪)을 탐구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저장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서울 무우수갤러리, 9월 11일~10월 14일
서정민 작가 기획 초대전 ‘무한의 선(禪)’
선(線) 너머 극한의 무한 세계 경험 선사
반복적으로 그려낸 선(線)에서 불교적 선(禪)을 탐구하고, 비워진 여백의 선에서 수행과 명상의 본질을 성찰하는 전시회가 마련된다. 서울 무우수갤러리(대표 이연숙)는 9월 11일부터 10월 14일까지 서정민 작가 기획 초대전 ‘무한의 선(禪)’을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서정민 작가의 ‘선(Lines) 시리즈’ 12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서 작가는 ‘한지’를 사용해 습작 서지(붓으로 한지에 서체 연습을 했던 종이)를 수집한 후, 두루마기 기법(무엇인가 적혀 있는 종이를 둘둘 만 것)을 응용해 한지를 말고, 자르고, 붙이고 쪼개 ‘한지 토막’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한지 토막의 단면은 글의 형상이 바뀌어 먹빛을 머금은 가느다란 선들만 남는다. 이와 같이 글이 선으로 바뀌는 지점의 조각들을 콜라주 방법으로 화면 위에 붙이고 쌓아 무엇(생명체)들이 움직이는 듯한 형상의 집합체를 구현했다. 때로는 동그랗게 말거나 평평하게 깎고 긋는 행위로 생동감을 살리기도 한다.
서 작가는 대학 졸업 후 평범한 직장 생활을 하며 가장으로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이 바라던 예술가의 꿈을 꾸고 퇴근 이후 무수한 선 긋기 작업에 몰두했다. 독학으로 작업을 하던 중 예술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늦은 나이 조선대에 진학, 스승 김유섭을 만나 현대 미술에 새로운 시각을 열고 풍경을 담은 유화 작품을 선보였다. 이후 보이는 세계 그 이상에 대한 궁금증으로 ‘선’에 주목했다. 수년간 연필 선을 긋는 작업만 고집하던 서 작가는 우연히 서예와 한지를 사용해, 현재까지 한지를 재료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한지 화가’라는 애칭까지 생긴 서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불교적 수행의 의미가 담긴 선(禪)을 통해 보이는 선(線) 너머 극한의 무한으로 들어가는 경험을 선사한다.
서정민 작가는 작가노트를 통해 “서지를 쌓아 화면의 공간을 채우고 비우는 일종의 묵언수행(默言修行)과 같은 반복적인 노동행위를 함으로써 무위자연의 선(線)과 불교적 의미의 선(禪)을 드러내는 것이 작업의 요체”라며 “우리 정서가 밴 먹과 한지를 끊임없이 맞대고 잇고를 반복함으로써 드러난 선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흥과 신명을 발견하고, 비움으로써 드러나는 여백을 선으로 바라봄으로써 불교의 본질을 성찰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웅기 미술 비평가는 이번 전시에 대해 “안료가 아닌 한지를 자르고, 말고, 쪼개고, 붙여서 만든 작은 조각들로 꽉 차 있는 거대한 캔버스를 보고 그 수고에 압도됐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연숙 무우수갤러리 대표도 “2024 무우수갤러리 기획 초대전 ‘무한의 선(禪)’을 통해 서정민 작가가 손끝으로 전달하는 아날로그적 감성과 현대사회에 불어오는 온기를 함께 느껴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정민, LINES 36, 140x140cm, 한지, 2022김내영 기자
원문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