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ART I
무우수갤러리 기획단체전
김경현 김내혜 김상희 김선희 김성태 문활람 박근덕 예상희
이재윤 이철승 이혜경 황두현 황대곤
2022.4.29~2022.5.22 무우수갤러리 3-4F
THE K-ART 기획전을 열며
오늘날 한국미술의 위상과 인기는 전 세계를 무대로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단색조 회화인 모노크롬뿐만 아니라 책거리 병풍과 민화 그리고 도자기 등 한국의 전통미술이 미국 과 유럽 일대의 미술관에서 순회전을 치르며 세계인들에게 큰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시점에서 과연 한국성이란 무엇인가, 한국 미학의 근원은 무엇인가, 라는 물음은 너무나 자연스 럽다. 우리는 이 물음을 시작으로 한국의 색, 한국의 얼, 한국의 혼을 추적하고 이를 어떻게 현대적 감각으로 새롭게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지 모색해봐야 한다.
이러한 지적 분위기 속에서 무우수갤러리는 ‘한국미술, 어떻게 흘러와 어디로 가는가?’라는 화두를 던지며 <무우수갤러리 THE K-ART 기획전>을 마련했다.
단청, 불화, 전각, 조각, 전통채색화, 캘리그라피를 시작으로 민화, 전통공예, 조형, 수묵화 등 올 연말 까지 매월 다른 장르의 전시를 다채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전통재료와 기법 및 화풍으로 보는 한국미술의 고유한 양식사는 물론이거니와 역사와 신화를 주제 로 한 작품에선 우리의 민족성을, 종교와 민중을 주제로 한 작품에선 우리의 정신성과 시대성을, 우 리나라의 자연풍광과 풍속을 다룬 작품에선 한국의 색과 향토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민족의 문화를 뿌리로 한다고 해서 K-ART를 단지 국지적인 개념으로만 한정하여 이해해선 안 될 것이다. 전통을 계승하고 또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오히려 민족성이라는 지엽적인 문제를 넘어서 한국미술에 대한 범동양적 시각의 확장을 꾀하기 위함이다.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민족문화는 판이한 특색이 있지만 ‘초시대적 초계급적 초사회적’일 때 세계성을 발휘할 수 있다.” (「민족문화문제」, 1947)라는 김용준의 말처럼 새로운 시대가 요청하는 새로운 미술은 전통적 정신 과 문화를 기조로 할 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전통의 터전 위에서 변화하는 시대정신에 호응하는 한국미술.
<무우수갤러리 THE K-ART 기획전> 통하여 우리의 색, 우리의 얼, 우리의 혼이 어떻게 흘러와 어 디로 가는지 살펴보고 가늠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무우수갤러리 학예실장 양효주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
105×110×300mm, 해남석, 2019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105×110×300mm, 해남석, 2019
박근덕/Goldgarden Ⅵ_고마리
60.6×90.9cm, 비단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박근덕/Goldgarden Ⅵ_고마리60.6×90.9cm, 비단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박근덕/Goldgarden Ⅶ_연꽃
72.8×116.8cm, 면천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박근덕/Goldgarden Ⅶ_연꽃72.8×116.8cm, 면천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박근덕/Goldgarden Ⅷ_민들레
72.8×116.8cm, 면천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박근덕/Goldgarden Ⅷ_민들레72.8×116.8cm, 면천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박근덕/나의 우주 Ⅱ_혹등고래와 국화
53×72.7cm, 아마천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2021

박근덕/나의 우주 Ⅱ_혹등고래와 국화53×72.7cm, 아마천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2021
박근덕/나의 우주 Ⅲ_구절초를 삼킨 귀신고래
53×72.7cm, 삼베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박근덕/나의 우주 Ⅲ_구절초를 삼킨 귀신고래53×72.7cm, 삼베에 천연염색 후 채색, 금박, 금분, 2021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
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Dharma Toys30×30cm, 캔버스에 채색, 2019
황두현/Club
91×28.5cm, 나무에 채색, 2022

황두현/Club91×28.5cm, 나무에 채색, 2022
황두현/Heart
91×28.5cm, 나무에 채색, 2022

황두현/Heart91×28.5cm, 나무에 채색, 2022
황두현/Bodhi
65×50cm, 삼베에 채색, 2021

황두현/Bodhi65×50cm, 삼베에 채색, 2021
황두현/Bodhi
119×85cm, 모시에 채색, 2021

황두현/Bodhi119×85cm, 모시에 채색, 2021
황대곤/운룡도
51×48cm, 나무에 채색, 2020

황대곤/운룡도51×48cm, 나무에 채색, 2020
이혜경/모란도
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혜경/모란도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혜경/모란도
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혜경/모란도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혜경/모란도
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혜경/모란도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혜경/모란도
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혜경/모란도175×52.5cm, 비단, 석채, 2022
이철승/수월관음도
78×117cm, 순면바탕, 분채, 금, 2022

이철승/수월관음도78×117cm, 순면바탕, 분채, 금, 2022
김상희/용왕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
59×117cm, 비단, 석채, 염료, 아교, 금니, 2022

김상희/용왕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59×117cm, 비단, 석채, 염료, 아교, 금니, 2022
김상희/물방울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
65.2×152cm 비단, 석채, 염료, 아교, 금니 2022

김상희/물방울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65.2×152cm 비단, 석채, 염료, 아교, 금니 2022
예상희/금니 아미타래영도
55×38cm, 염색된 비단에 금니, 2020

예상희/금니 아미타래영도55×38cm, 염색된 비단에 금니, 2020
예상희/영산회상도
74×107cm, 견본채색, 2017

예상희/영산회상도74×107cm, 견본채색, 2017
김선희/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
39×38cm, 장지에 채색, 2020

김선희/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39×38cm, 장지에 채색, 2020
김선희/공만선허 虛船滿空
35×25cm, 장지에 채색, 2020

김선희/공만선허 虛船滿空35×25cm, 장지에 채색, 2020
이재윤/다시시작해
25×25×53cm, 브론즈,착색, 2022

이재윤/다시시작해25×25×53cm, 브론즈,착색, 2022
이재윤/선정
32×25×44cm, 브론즈,착색, 2018

이재윤/선정32×25×44cm, 브론즈,착색, 2018
이재윤/성도
33×20×36cm, 브론즈,착색,금분, 2018

이재윤/성도33×20×36cm, 브론즈,착색,금분, 2018
이재윤/탄생불
12×12×44cm, 브론즈,착색, 2018

이재윤/탄생불12×12×44cm, 브론즈,착색, 2018
이재윤/성도
32×20×36cm, 브론즈,착색,금분, 2018

이재윤/성도32×20×36cm, 브론즈,착색,금분, 2018
김경현/결_남은 자리
64ⅹ49cm, 판넬위에 광물성 안료, 2021

김경현/결_남은 자리64ⅹ49cm, 판넬위에 광물성 안료, 2021
김경현/결_남은 자리
64ⅹ49cm 판넬위에 광물성 안료 2021

김경현/결_남은 자리64ⅹ49cm 판넬위에 광물성 안료 2021
김경현/결_남은 자리
110×55cm 석채,종이열화 2021

김경현/결_남은 자리110×55cm 석채,종이열화 2021
김경현/수렵도
65×47cm 석채,종이열화,금박 2022

김경현/수렵도65×47cm 석채,종이열화,금박 2022
김경현/수렵도
64×49cm, 석채,종이열화,금박, 2022

김경현/수렵도64×49cm, 석채,종이열화,금박, 2022
문활람/강서대묘 북측현무
117×80cm, 닥지에 화강말, 천연석채, 2021

문활람/강서대묘 북측현무117×80cm, 닥지에 화강말, 천연석채, 2021
문활람/강서중묘 주작_좌
변형 20호, 닥지에 화강말, 천연석채, 2021

문활람/강서중묘 주작_좌변형 20호, 닥지에 화강말, 천연석채, 2021
문활람/강서중묘 주작_우
변형 20호, 닥지에 화강말, 천연석채, 2021

문활람/강서중묘 주작_우변형 20호, 닥지에 화강말, 천연석채, 2021
김내혜/가시리
44×88×210mm, 해남석, 2019

김내혜/가시리44×88×210mm, 해남석, 2019
김내혜/鄭石歌정석가
80×80×230mm, 해남석, 2019

김내혜/鄭石歌정석가80×80×230mm, 해남석, 2019
김내혜/옛니야기
70×300×210mm, 해남석, 2021

김내혜/옛니야기70×300×210mm, 해남석, 2021
김내혜/정지용 시인
35×290×210mm, 해남석, 2021

김내혜/정지용 시인35×290×210mm, 해남석, 2021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
105×110×300mm, 해남석, 2019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105×110×300mm, 해남석, 2019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
105×110×300mm, 해남석, 2019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105×110×300mm, 해남석, 2019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
105×110×300mm, 해남석, 2019

김내혜/현애살수懸崖撒手105×110×300mm, 해남석, 2019
김성태/함께
35×109cm, 화선지에 먹, 2022

김성태/함께35×109cm, 화선지에 먹, 2022
김성태/오징어게임
45.5×53cm 판넬에 수채화, 먹 2021

김성태/오징어게임45.5×53cm 판넬에 수채화, 먹 2021
김성태/감
68×65cm, 화선지에 먹 채색, 2022

김성태/감 68×65cm, 화선지에 먹 채색,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