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우수갤러리 기획초대전
나랏말글씨
The Seed Cores of Hangul
일시 : 2025.07.01-07.28
장소 : 무우수갤러리/인사동길 19-2 와담빌딩 3-4F
시간 : 10:00 - 18:00 무료관람
서평
언어란 천지간에 일어나는 온갖 일들의 정경(情境)과 사정과 모양새의 도량형을 말씨와 글씨로 펼쳐내는 인류문명의 혁신적인 문화 도구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언상의(言象意)라 했다. 여기서 언(言)이란 말씨와 글씨를 말한다. 인류의 수많은 예술가들은 생동하는 자연의 도량형을 훔쳐다가 말씨로 노래를 불렀고, 글씨로써 만상(萭象)의 뜻을 마음껏 드러냈다. 말씨는 무형이고 글씨는 유형으로써 형질만 다를 뿐이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한결이다.
세종께서는 말씨가 중국과 달랐기 때문에 우리 말씨에 어울리는 글씨를 새롭게 만드신 것이다. 천지인 원방각(ㅇㅁ△)의 상을 취해서 글의 형태와 취지를 세우고, 천지자연의 소리와 글을 완연하게 표현케 한 것이다. 그래서 훈민정음해례본에서는 정음 28자의 각상(各象)은 그 형(形)을 본떠서 만들었다(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고 했다. 이 말은 우리의 언어는 자연세계에서 일어나는 실상의 기운을 그대로 말과 글로 그 형태를 그려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바람소리, 학의 울음소리, 닭 우는 소리, 개 짓는 소리까지 다 알아서 쓸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장천선생은 이러한 한글의 자연이치를 훤하게 꿰뚫고 거침없는 묵흔으로 그 묘미를 걸림없이 표현해낸다. 장천 선생 글씨의 특장은 교졸(巧拙)한 형태미와 필세(筆勢)의 기운생동에 있다. 한글은 한자의 용필과 필세와는 사뭇 다르지만, 정통 서법을 평생동안 적공하여 정통한 묵객이기에 한글체에서도 그의 신명은 여지없이 약동한다. 묵(墨)은 새까막하지만 그 현현(玄玄)한 색속에는 층층한 농담의 결이 은은하게 흐르고 있는데, 장천선생은 그 미묘한 차이를 오히려 즐긴다고 한다. 선생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대부분 먹은 검정이라는 단색으로 생각하는데, 저는 일찍이 검정색의 스펙트럼을 넓혀 최대한 담백한 먹색을 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필력이 제대로 살아났을 때, 진한 검정색보다 맑은 검정색이 훨씬 강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맑은 검정색이야말로 가슴에 빨리 스며드는 찐 검정이라 생각합니다."
농묵과 담묵의 경계를 포착하는 것은 무시로 변화하는 빛의 세계를 감지하는 것과 같다. 이는 땅에서 시나브로 변화하는 음양교차를 먹물로 표현하는 일이니, 자연의 동정 변화를 꿰어 차야만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수준 높은 심미안이 이번 그의 전시 작품 한 점 한 점마다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한글의 원리는 우주변화의 이치에 따라 천지(天地)·상하(上下)·좌우(左右)· 강유(剛柔)·경중(輕重)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해서 만들었다고 훈민정음해례본에서 말하고 있는데, 장천선생은 간단한 몇 획으로 이를 단번에 그어낸다.
그렇다! 지구상의 모든 유무정의 생명체들이 새 씨를 만들려고 한다면, 엄마 자궁과 같은 움에서 극성이 다른 음양 두 씨가 만나서 합을 이루어야만 새 씨가 탄생한다. 한글도 마찬가지다. 한 음절의 말씨와 글씨가 만들어지려면 극성이 다른 초성과 종성의 두 자음씨가 엄마 자궁과 같은 모음에서 만나 합을 이루어야 한 음절에 말씨와 글씨가 생겨난다. 이렇게 상하·좌우·강유·경중의 씨를 품은 하늘소리 초성과 땅의 소리 종성이 중성(中聲) 모음에서 합을 이루어 한 글씨가 생겨나므로, 이를 묵으로써 상하·좌우·강유·경중을 표현하는 것은 오직 묵의 농담만이 가능한 것이다. 이것이 묵으로써 자연세계의 무한한 변화를 자유자재로 표현하는 최고의 예술적 가치다.
장천선생은 말한다.
“묵을 다룬다는 것은 까만 일색으로 천변만화하는 다방 다면의 다색과 다변 다정 다감을 대변하는 일입니다. 종이에 쓰여지는 글씨는 평면상의 단순한 선면(線面) 같지만, 거기에는 재량할 수 없는 다방 다면의 입체적인 기하학적 시공이 무수히 펼쳐집니다. 이를 표현해내기 위해서는 붓 봉에 딸린 수만 개의 붓털을 단호하게 장악하여 용필과 필세와 필력으로 원근 대소 장단의 형세를 농담(濃淡)의 묵흔으로 마음껏 희롱합니다. 사방팔방으로 펼쳐진 시공의 각(角)을 쥐락펴락하는 아래아(•) 한 점에 그 오만 정경이 다 서려있는 게 한글의 묘미입니다. ‘옴’자 하나에도 우주정신이 들어있습니다. 하늘은 둥글고(ㅇ)고 땅은 모가(ㅁ) 났다고 했습니다. 하늘의 기운을 잔뜩 머금고(•) 땅(ㅁ)으로 내려오는 형상을 모음 ‘ㅜ’자 양팔을 벌려 ‘ㅁ’자를 품에 안은 듯한 글의 형상이 ‘움’자입니다. ‘옴’자는 이와 반대로 땅의 생명들이 마치 움을 틔우고 하늘을 향해 양팔을 활짝 펴는 형상입니다. 한글의 형태미는 자유자재합니다. 천지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한글 속에는 만물의 성색정경(聲色情境)이 생생하게 율동하고 있습니다”
석도가 말한 일획(一畫)의 도를 듣는 듯하다.
글씨는 정적인 유형의 무정체이지만, 그 속에 생동거리는 소우주의 유정한 만감과 오만정이 펼쳐지니 장천선생의 묵흔 따라 기쁘게 관상해 보시기를 권해본다. 얼씨구!!!!
이천이십오년 유월 열엿샛날
배일동 씀(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춘향가 이수자)
작가노트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조해낸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문자이고
그 원융(圓融)은 천지인(天地人)과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뿌리를 두고 있다.
땅에서 위를 보면 하늘이 하늘이고
하늘에서 땅을 보면 땅이 하늘이다.
고로 땅도 하늘이고 하늘도 땅이다.
그 중간에 있는 인간은 위 아래로 교차하는
그 천지 기운의 상생을 통해 생성된 것이다.
이처럼 한글은 위와 아래 좌와 우를 구분해 자음 28자와 모음 8자를 만들어 놓았으나 그 구분은 차례가 없다.
이번에 처음으로 한글의 창제원리에 뿌리를 두고 작품 36점을 준비해 보았다. 작품이 마무리가 되고 보니 두꺼운 겉옷을 벗은 기분이다. 그 동안 작업해 온 한문을 버릴 순 없지만 한글을 더 채워야 한다는 사실은 더욱 선명해진다.
김성태
On the Calligraphy Of Jang Cheon
Language is a revolutionary cultural tool of human civilization, unfolding through the seeds of speech and script—spoken syllables and written characters—to express do-ryang-hyeong (度量衡), the measures of scale, volume, and weight, of all the emotional landscapes, worldly events, and myriad forms that arise between heaven and earth. Thus, the ancients spoke of eon-sang-ui (言象意) — language, image, and meaning. Here, eon (言) encompasses both spoken language and written expression. Countless artists throughout human history stole the measures of living nature, sang them through spoken words, and revealed the meanings of all forms (萬象, man-sang) to their heart’s content through inscribed words. Speech leaves no form behind, while writing reveals its form — yet what they aimed to express was, in essence, one and the same.
King Sejong devised a new script better suited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which differed significantly from Chinese in both structure and sound. He drew upon shapes (象) of Heaven (cheon), Earth (ji), and Humanity (in) —Circle, Square, and Triangle (ㅇ, ㅁ, △)[1]—as the foundation for both the forms and the intent of the letters, enabling the sounds and meanings of nature to be rendered clearly in writing. In the Hunminjeongeum Haerye[2], it is written: “The twenty-eight letters of the proper sounds (jeong-eum, 正音) were each formed by modeling their shapes”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This means that the Korean language holds the capacity to depict the very energies of reality, through speech and writing, as they emerge from the natural world. That is why even the sounds of wind, the cry of a crane, the crowing of a rooster, or the barking of a dog can all be intuitively rendered and written in Hangul.
Jang Cheon perceives with striking clarity the natural principles embedded in Hangul and expresses their elusive charm with an unhesitating brush, the black ink traces revealing their full tonal variants and depth.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his calligraphy lie in the formal aesthetic of raw refinement (gyojol, 巧拙) and the vigorous vitality (gi-un saeng-dong) of his brushstrokes. Although Hangul brushwork quite differs from the technical use of strokes and momentum in Chinese calligraphy, his lifetime of devotion to classical calligraphy allows his spirit to surge unmistakably through his works in Korean script as well. Ink is pitch black, yet within that depth of blackness lie mysterious layers, where delicate gradations of light and dark ripple subtly — and Jang Cheon is known to savor this subtle spectrum of black ink. He speaks as follows.
“Most people think of ink as a single solid color, but early on, I sought to broaden the spectrum of black — to achieve the purest, most understated ink tone possible. When my brush reveals its full expressive strength, I find that a clear black is far more powerful than a heavy, dense black. To me, it is the clear black that penetrates the heart most swiftly — that is the truest black.”
Yes — all sentient and non-sentient beings on Earth require the union of two seeds of opposing polarity — yin and yang — and their fusion within um (움), a womb-like space akin to that of a mother, for a new seed to be born. Hangul is no different. For a single syllable-seed, whether spoken or written, to come into being, two consonant seeds of opposing polarity — the initial sound (choseong) and the final sound (jongseong) — must come together within the vowel, which serves as the maternal womb. In this way, the initial sound from heaven above and the final sound from the earth below, each bearing the essence of above and below, left and right, strength and softness, weight and lightness, are brought into union within the neutral space of the vowel — the median sound (jungseong) — to give birth to a single seed of a character. To express this cosmic convergence — of above and below, left and right, firmness and softness, weight and lightness — with brush and ink, nothing but the full spectrum of ink’s density and dilution can do it justice. This is the highest artistic value one can reach: to express, with complete freedom and without obstruction, the infinite transformations of the natural world through muk, the black ink.
And Jang Cheon says:
“To work with muk (black ink) is to represent the infinitely shifting, multifaceted spectrum of colors, expressions, emotions, and sensibilities through a single pitch-black hue. Though the calligraphic letters drawn on paper may appear to be simple flat lines and planes, they unfold into countless three-dimensional geometries of space and time—realms beyond calculation. To express this, one must command the tens of thousands of brush hairs gathered at the tip, wielding them with unwavering inten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rush (yongpil), the energy of strokes (pilse), and the power of expression (pillyeok)—to shape depth and distance, scale and proportion, rhythm and structure, all freely played through the tonal gradations (nongdam) of ink.
In Hangul, all of this condensed richness converges into a single dot: arae-a (ㆍ), a seed at the center of the dispersed angles of space-time—held tightly to collapse, or opened to spread, at will. That is the mystical beauty of Hangul. Even in a single syllable like ‘옴 (om)’, the spirit of the universe reside. It is said that the sky is round (ㅇ), and the earth is square (ㅁ). The vowel “ㅜ” (u), infused with the energy of heaven (ㆍ), descends into the square of the earth (ㅁ), its arms stretched wide as if embracing it—this is the shape of the syllable “움” (um). In contrast, the syllable “옴” (om) evokes the sprouting of earthly life, arms opened upward toward the sky. The formal aesthetics of Hangul are utterly free and unbounded. Formed through the trinity of Heaven (cheon), Earth (ji), and Humanity (in), the script pulses with the vivid rhythm of all sounds, colors, emotions, and landscapes (seong-saek-jeong-gyeong, 聲色情境)”
It feels as though one is hearing the Way of a single stroke, as Seokdo (石濤) once said.
Calligraphy may appear to be a static, tangible, non-sentient form—yet within it unfolds a vibrant microcosm filled with sentient feeling, myriad emotions, and boundless spirit.
I encourage each of you to joyfully behold and contemplate the ink traces left by Master Jang Cheon. Eolssigu!
On the 16th day of June, 2025
Written by Bae Il-dong
(Certified Successor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5 - Chunhyangga)
.